교회학교의 시작, 영국의 주일학교
최초의 주일학교는 영국에서 17-18세기에 걸쳐 펼쳐진 기독교 자선 운동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영국은 사회적으로 큰 타락의 시기였다. 청교도에 대한 반동으로 교회가 부패하여 교직자들은 타락했고, 정치는 금권으로 휩쓸리는 비참한 시기였으며, 농촌은 피폐하여 가난으로 인해 몰려드는 직공들은 대부분 아이들과 부녀자들이었다. 이들은 저임금으로 노예처럼 혹사를 당해야만 했고, 주일이면 거리에 뛰쳐나와 시민들에게 폭력을 행사하고, 부도덕과 악행을 일삼았으며, 농장에서 곡물을 강탈하였다. 그러나 위정자들은 이런 사회적 현상을 타개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은 마련하지 않고, 교도소만 넓혀갔다. 로버트 레이크스의 주일학교 운동은 이런 사회적인 현상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책임과 소명의식에서 시작된 것으로 크게 그의 교육이념을 주선애 교수는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한다.
첫째, 레이크스의 주일학교는 그의 사회적 책임 내지 도덕적 책임감에서 시작된 것으로 본다. 즉 사회의 도덕적 부패를 교육에 의해 추방해보려는 시도였음을 알 수 있다. 그는 당시 감옥 개량사업에 깊이 관여하면서, 죄의 결과보다는 그 원인을 없애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가졌다. 그래서 어느 주일날 난폭하게 놀고 있는 공장 직공들을 보며 그들을 주일에 예배와 교리 교육과 일반교육을 시행하기로 마음먹었던 것이다.
둘째, 교회 밖에서의 기독교 교육의 시도였다. 어느 집 부엌에서 여교사를 고용하여 시작한 것이다. 교회 안에 찾아온 소년들이 아니고 교회 밖에 있는 아동들을 위해 시작된 기독교 교육이었다.
셋째, 빈민을 위한 교육이었으며 소외되고 불린 자들을 위한 교육이었다.
넷째, 평신도가 주도한 기독교 교육이었다. 즉 평신도의 교육적 선교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레이크스 자신이 미리 심각하게 연구하고 계획한 것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으나 결과적으로는 그 당시 그 사회를 향한 기독교인의 교육적 봉사였다.
다섯째, 사회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 크리스천의 사회를 구하기 위한 활동이었다. 교회와 사회와의 연결을 모색한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으며, 크리스천의 역사 참여의 한 형태라고도 볼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주일학교는 교회의 독점물이 아니라 시대적 요청에 의한 교육적 선교였으며, 소외된 자들을 위한 평신도 교육운동으로 기독교의 역사적 책임 수행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교회와 사회 사이에서 교회로 하여금 교회답게 하는 교육운동이었다.
로버트 레이크스와 길에서 노는 아이들
레이크스와 함께 영국의 주일학교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람으로 윌리엄 팍스 (William Fox)와 존 웨슬레(John Wesley)가 있다. 1736년에 태어난 윌리엄 팍스는 경건한 침례교인으로서 런던시의 부유한 상인이었다. 그가 전국을 다니며 장사를 하였는데 그때마다 성경을 배부하였다. 그런데 성경을 읽을 수 있는 사람이 20명 중 한 명정도 밖에 되지 않아, 가난한 이들의 무지를 깨우치는 방법은 성경을 읽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로 인하여 이들이 종교적 중생과 도덕적 각성을 경험하게 됨으로써 영국 사회는 점차적으로 개혁될 수 있다는 이상을 가진 것이다.
그래서 그는 영향력 있는 기독교인들의 봉사 단체를 조직하여 성서 교육을 위한 재단 법인체를 구성하려 할 때 로버트 레이크스의 주일학교 운동이 눈에 띄었다. 그리하여 1785년 9월 9일 전국적 차원으로서의 주일학교 연합회를 설립하고, 주일학교 후원회를 만들고 성서와 철자법 책을 제공하며, 교사들의 사례비를 지원하게 되었다. 이 후원회의 목적이 “범죄를 막고, 무지의 암흑을 추방하고, 근면과 도덕을 권장하여, 지식의 빛 아래 살게 함이라”라고 하였다. 이 후원회는 282 학교 일만 육천 명의 학생을 돕고 20295권의 철자법 책을 제공함으로써 주일학교 운동 확장에 박차를 가하였던 것이다.
또한 감리교의 창시자인 존 웨슬리는 주일 하교 운동이 교회 밖에서부터 평신도들에 의하여 일어났으므로 당시의 교회의 지도자들이 무관심 내지는 적의를 나타냈으나, 그는 오히려 적극적인 관심과 찬사를 보내며 후원하였다. 그는 이 운동이 전국을 통하여 종교를 재생시킬 수 있는 위대한 통로가 될 것이며, 또한 종교가 어린이들에게 확장되어가지 않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고 대중들에게 주일학교 운동을 위하여 호소하였다. 존 웨슬레는 윌리엄 팍스의 후원회가 재정적인데 머무는 것을 보완하여 자원 봉사자들로 교사 지원을 하도록 하였으며, 이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도록 공헌을 하였다. 또한 자녀들이 글을 읽고 쓸 줄 아는데서 희망을 얻게 된 일반 백성들의 호응 또한 대단하여 이 운동이 전개된 지 30여 년이 지나자 3천 개 이상의 주일학교와 25만 이상의 학생들이 영국, 웨일스, 스코틀랜드 그리고 아일랜드 등지에 등록되어 있었다.
영국에서 비롯된 주일학교 운동은 평신도가 주체가 되어 일어난 평민 교육의 효시였으며 문맹퇴치와 성서 반포에 큰 몫을 차지하게 되어, 영국 성서공회 설립의 기초가 되었고, 나아가서 세계 선교운동으로까지 영향을 끼치게 되었던 것이다.
*이 글은 저의 석사논문인 "교회학교 교사의 지도력 개발에 관한 연구"에 수록된 내용을 재정리한 것입니다.
by 소토교회 박동진 목사
'코이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주일학교 시작과 특징 (0) | 2017.08.03 |
---|---|
영국 주일학교 교사의 사명과 역할 (0) | 2017.08.02 |
교육개혁 '어떤 사람'에 대한 사회적 합의에서 시작해야 한다 (0) | 2017.07.30 |
핀란드 교육이 특별한 이유 (0) | 2017.07.01 |
교회교육 학교식 체제를 벗어나야 한다 (0) | 2016.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