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이네설교 320

야곱의 슬픔, 사랑하는 두 사람이 죽음

창세기 35장, 사랑하는 아내 라헬의 죽음, 사랑하는 아내의 죽음과 아들 베냐민의 탄생, 이원수의 詩 아버지 창세기 35장 참 야곱만큼 굴곡 많은 삶을 산 사람도 드물 것입니다. 그래서인지 전 성경에서 가장 친근감이 가는 인물이 야곱이더군요. 야곱의 삶을 보면 하나님께서 제 삶도 이해해주시고 야곱에게 베푼 사랑만큼 사랑해주시겠다는 그런 생각을 갖게 합니다. 이제 그런 야곱의 삶도 중년을 지나가며, 또 다른 슬픔을 당하게 됩니다. 바로 그렇게 사랑했던 아내 라헬의 죽음과 아버지 이삭의 죽음입니다. 1. 아내 라헬을 보내며 야곱이 외삼촌 라반의 집에서 더부살이를 할 때 그에게 가장 큰 용기와 힘을 준 사람이 바로 라헬입니다. 라헬을 사랑한 야곱은 20년의 세월동안 갖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것을 이겨낼 수 있..

코이네설교 2012.11.15

거부가 된 이삭, 그가 부자가 될 수 있었던 비결

창세기 26장, 거부가 된 이삭, 부자에 대한 성경적인 이해 창세기 26장 아브라함이 죽은 후 그 땅에 다시 흉년이 찾아옵니다. 팔레스틴의 지리적인 특징 상 그 땅에 흉년이 들면 내륙지방에 비해 상대적으로 해풍이 있어 비옥한 지중해 연안 지역으로 사람들이 이주하기 시작합니다. 농사를 짓는 사람들은 그래도 자기 땅을 지키고자 하는 노력을 하겠지만 목축업을 하고 있던 이들은 정착지가 없었기 때문에 풀이 있어 짐승들을 키울 수 있는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은 자연스런 일이었습니다. 그래서 가뭄이 들면 자기의 소유를 이끌고 지중해 해안인 그랄지방으로 이주했고, 그 그랄지방도 가뭄으로 어려워지면 나일강이 있는 이집트로 이주했던 것입니다. 이삭 시대에도 그런 지독한 가뭄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삭은 그의 소유를 다 이..

코이네설교 2012.11.09

사랑하기에 결혼하는가 아님 사랑하려고 결혼하는가?

창세기 24장, 며느리를 찾는 아브라함, 이삭을 통해 본 성경적인 결혼관 창세기 24장 아브라함은 그의 가장 신임하는 지혜로운 종을 자신의 고향에 보내어 아들의 아내를 찾게 하였습니다. 그 종은 주인의 뜻을 받들어 기도하며, 작은 주인의 베필을 찾고자 노력하였고, 그 노력의 시작은 바로 기도입니다. 이 종의 기도는 몇 가지 특별한 점이 있습니다. "주님, 나의 주인 아브라함을 보살펴 주신 하나님, 오늘 일이 잘 되게 하여 주십시오. 나의 주인 아브라함에게 은총을 베풀어 주십시오. 제가 여기 우물 곁에 서 있다가, 마을 사람의 딸들이 물을 길으러 나오면, 제가 그 가운데서 한 소녀에게 '물동이를 기울여서, 물을 한 모금 마실 수 있게 하여 달라' 하겠습니다. 그 때에 그 소녀가 '드십시오. 낙타들에게도 제..

코이네설교 2012.11.07

돌감람나무와 참감람나무가 주는 참 교훈

로마서 11장, 참감람나무와 돌감람나무의 비유, 팔레스타인의 농사법에 숨어있는 비유의 참의미 로마서 11장에 사도 바울은 돌감람나무와 참감람나무에 대한 비유가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유대인들을 버리고 이방인들에게 예수님의 복음을 전하며 하나님의 백성으로 삼으시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돌감람나무 즉 야생감람나무와 참감람나무의 비유를 통해 설명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비유에서 이상한 점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접붙이는 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만일 돌감람나무에서 감람열매를 얻으려고 한다면 바울이 설명한 것처럼 참감람나무에 돌감람나무를 접붙이는 것이 아니라 참감람나무 가지를 꺾어 돌감람나무에 접붙이는 것이 일반적인 농사법입니다. 그런데 바울은 이를 꺼꾸로 설명한 것이죠. 이에 대해 성미 급한 신학자들..

코이네설교 2012.10.25

성폭행,일어나서는 안될 일을 당한 딸에게 야곱은?

창세기 34장, 성폭행을 당한 야곱의 딸 디나, 성폭행 당한 딸을 위해 해야 할 일은? 창세기 34-35장 에서와 극적인 화해를 한 야곱은 천천히 아버지 이삭이 있는 곳으로 나아갑니다. 그런데 호사다마라고 이제 가장 큰 어려움을 해결했고, 모든 것이 해피앤딩이 될 듯 한데, 예기치 않는 사고가 발생합니다. 바로 야곱의 딸 디나가 그 지역의 족장에게 그만 강간을 당하게 됩니다. 낯선 곳에 오자 야곱의 딸 디나는 호기심에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여인들을 보고자 마을 나들이를 갔는데, 그만 그 지역의 족장 세겜의 눈에 띄었고, 성폭행을 당한 것입니다. 일어나서는 안되는 일이 일어났고, 이 일로 인해 야곱은 큰 상심에 빠집니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사랑스런 딸을 보면 당장이라도 칼을 들고 일어나 쳐죽이고 싶..

코이네설교 2012.10.10

아브라함의 죽음과 우리가 죽기 전에 준비해야 할 것들

창세기25장, 아브라함의 죽음, 신앙인이 가져야할 죽음관, 죽기 전에 준비해야 할 것은? 창세기 25장 창세기 25장에는 아브라함의 죽음에 대해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의 죽기 전 행적을 살펴보면, 그가 137세 때 그의 사랑하는 아내 사라와 사별하고, 이내 후처를 맞이하여 6남매를 낳습니다. 사라와 사별 후 38년을 더 산 후에 그는 죽음이 가까이 온 것을 알고는 그의 후처 그두라에게서 낳은 자녀들에게 많은 재산을 물려주며 동방으로 떠나살게 합니다. 그리고 결혼 한 이삭에게 자신의 장자의 권리를 물려주고는 175세의 일기로 눈을 감습니다. 그의 죽음에 관해 성경은 "그가 나이 높고 늙어서 기운이 다하여 죽어 자기 열조에게로 돌아가매, 그의 아들들인 이삭과 이스마엘이 그를 장사하여" 막벨라 굴에 사라와 함..

코이네설교 2012.10.03

하나님은 독재자를 아주 싫어하신다

창세기1장, 정복하고 다스리라는 말의 성경적인 참 의미 하나님은 사람들에게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고기와 공중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는 복과 사명을 주셨다. 즉 사람이 이 땅에서 꼭 해야할 일이 하나님이 만드시는 세상에서 번성하는 것이며, 땅을 정복하고 다스리라는 것이다. 이를 보면 사람들이 결혼해서 자녀를 낳고 자손대대 번성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임을 알 수 있다. 결혼을 싫어하고 자녀낳기를 꺼려하는 것은 하나님의 명령에 불순종하는 행위이며, 하나님의 입장에서 보실 때 그런 사회는 하나님의 복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전 우리나라는 좁은 땅에 인구가 과도하게 밀집되어 있다고 해서 둘만 낳아 잘기르자 하다가 하나라도 제대로 기르자라고..

코이네설교 2012.09.15

사람을 차별하는 것은 하나님을 모독하는 것이다.

창세기 1장, 하나님의 창조 후 '보시기에 좋았더라'는 말의 의미 성경을 보면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실 때 얼마나 심혈을 기울이셨는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진화론을 주장하는 분들은 세상이 우연히 이루어졌다고 주장하는 것과는 달리, 성경은 창조야 말로 하나님의 혼과 열정이 담긴 산물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하루하루 만들고자 하는 계획대로 만드신 후에 한결같이 "보시기에 좋았더라"라고 표현한다. 이 좋았다는 말은 히브리어로 "토브"라고 하는데, 목적하는 대로 되었을 경우, 좋은 결과가 이루어졌을 때, 선한 일 등을 표현하는 단어다. 즉 하나님이 만들고자 마음먹은대로 모든 것이 이루어졌고, 이것이 제 역할을 했기에 하나님은 그것을 보시기 스스로 만족해하시면 "굿"이라고 외쳤던 것이다. 그런데 사람을 ..

코이네설교 2012.09.13

하나님의 경고 약자를 무시하지 말라

창세기 20장, 아내를 누이라 속여 아내를 빼앗긴 아브라함,아비멜렉의 꿈속에 나타난 하나님 창세기 20장 창세기 20장을 보면 아브라함이 블레셋 사람들의 땅에 얹혀 살다가 자기 아내를 빼앗긴 사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처음 이 부분을 읽었을 때 참 어이가 없었습니다. 하나님께서 넌 믿음의 조상이라고 한 사람이 한 번도 아니고 두번이나 자기 살자고 꼼수를 부렸다가 자기 아내를 빼앗긴 어처구니 없는 이야기였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어쩌자고 이런 사람을 믿음의 조상으로 선택하셨을까 그런 의문이 들고, 또 한편으로는 아브라함이 넘보기 힘들만큼 대단한 사람이었다면 어찌 나같은 사람이 하나님이 택한 사람이 될 수 있을까 싶은 생각도 들구요. 그래서인지 아브라함의 이런 약한 모습이 감사하기도 하고 그렇더군요. 그런데..

코이네설교 2012.09.13

성경의 창조와 창조과학회가 말하는 창조론은 차이가 있다

창세기, 하나님의 창조와 창조과학회가 말하는 창조론의 차이 성경의 첫 시작은 이 세상의 창조를 말하고 있습니다.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로 시작되는 이 선언은 기독교 신앙의 출발점이기도 합니다. 이 세상 존재의 근원을 밝혀주는 말씀이며, 이 말씀으로 세상의 모든 것은 하나님에 의해 창조된 세계라는 것을 명시해주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세상 모든 존재의 근원이 되시기에 모든 만물의 아버지가 되시는 것입니다. 창세기는 이 세상의 창조를 아주 리얼하기 그려줍니다. 창조 이전의 세계는 혼돈과 흑암 그리고 공허하였다고 합니다. "무"에서 세상이라는 "유"를 창조하셨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세상을 만드신 하나님을 알면 "유"의 세계를 이해하고 그 목적을 아는 삶을 살아간다는 것이 신앙해야 하는 이유..

코이네설교 2012.09.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