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이네 교육 61

갈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영국의 성소수자 교육 문제

1. 영국 버밍엄(Birmingham)에서 ‘전국학교장연합(National Association of Head Teachers)’의 연례회의가 열렸습니다. (2019.6.6~7) 2. 전국학교장연합 NAHT의 회의에 맞춰 현재 버밍엄의 몇몇 학교에서 성소수자에 대한 내용을 가르치는 것에 반대하는 학부모 시위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시위대는 초등학교에서 성소수자에 대한 내용을 배워서는 안 되며 학부모가 자신의 자녀로 하여금 이 수업에 불참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3. 전국학교장연합은 항의 시위를 중단하도록 촉구하고 있으며, 데미안 힌즈(Damian Hinds) 교육부 장관, 버밍엄 시의회 의장, 버밍엄 경찰서장, 닉 기브(Nick Gibb) 학교기준부처장 역시 시위 중단에 동의하였습니다...

코이네 교육 2019.07.08

한국 교회 교회학교 쇠퇴 요인은 '교역자와 교사의 열심 부족'

2000년 초에 우리나라 교회학교에 대한 아주 부정적인 연구결과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특히 숫적인 감소가 너무 눈에 띄게 드러나 이러다가는 20년 안에 교회학교가 사라지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많았습니다. 그런데 그것이 그저 우려가 아니라 현실이 되고 있는 것을 봅니다. 아래 글은 제 석사학위논문인 '교회학교 교사의 지도력 개발에 관한 연구' 에 있는 글입니다. 오래된 자료이기는 하지만 이런 통계를 바탕으로 미래를 준비하면 좋겠다 싶어 올립니다. 교회학교의 인적 현황으로 본 교회학교의 성장 추이 나긔환은 대한예수교 장로회 (통합)의 67회(1981년) 총회 보고서와 77회(1991년) 총회 보고서를 비교하면서, 총회 입장에서 본 한국 교회학교를 진단하였다. 그의 보고에 따르면 10년 동안에 교회수 1..

코이네 교육 2017.12.11

1990년대 교회학교 현황과 분석 그리고 추이

1990년대 교회학교 현황과 분석 그리고 추이 1990년대 교회학교의 현황은 박상진 교수의 논문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박상진교수의 보고는 1993년에서 1996년에 이르는 기간까지의 한국교회학교의 성장추이를 분석한 것인데, 여기에 따르면 앞선 나긔환의 연구처럼 교회학교에서 수적 정체현상이 심각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교회학교 성장 추이 분석을 두 가지 방법으로 접근하였는데, 먼저는 교회학교 성장 추이에 대한 일선 교육전도사들의 인식을 통하여 파악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실제적으로 지난 3년간의 학생수의 추이를 기록하도록 하여 이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그는 이 조사를 위해 다방면에 걸친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이 설문조사는 현재 교육전도사를 맡고 있는 삶으로 제한하였으며, 맡은 부서..

코이네 교육 2017.10.05

1980년 교회학교 현황과 교회학교의 특징

1980년대 교회학교 현황 나긔환은 대한예수교 장로회 (통합)의 67회(1981년) 총회 보고서와 77회(1991년) 총회 보고서를 비교하면서, 총회 입장에서 본 한국 교회학교를 진단하였다. 그의 보고에 따르면 10년 동안에 교회수 1,318교회가 증가하였고, 교인수는 726,750명(57%), 교회학교 학생수는 404,277명(53%), 교사는 54,922명(80%)이 증가하였다고 한다. 이를 내용별로 보면 학생수는 유치부 3,949명(4% 증가), 아동부 22,086(7% 증가) 중고등부 84,018(4% 증가), 청년대학부 43,051명(7% 증가), 장년부 247,213명(170% 증가) 이다. 교사수를 보면 유치부 7,343명(80% 증가), 아동부 19,976명(50% 증가), 중고등부 17,..

코이네 교육 2017.10.05

기독교교육철학이 빈곤했던 해방 후의 주일학교교육

해방 후의 주일학교 해방이 되자 무너졌던 재단이 다수 수축되고 잠잠했던 주일학교 운동이 다시 일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남쪽에서는 그런 부흥이 일어났으나 북한은 그렇지 못했다. 1947년 1월 14일 서울에서 주일학교 재건 운동이 시작되었고, 1948년 조선주일학교 연합회라는 명칭은 “대한 기독교 교육협회”로 개칭되었다. 그러나 이는 1950년 전쟁으로 인해 일시 무너지고 말았으며, 1952년 피난지인 부산에서 다시 재출발을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런데 “주일학교 연합회”가 “대한 기독교 교육협회”로 개칭되고 사업을 계속하여 왔으나, 출판사업만을 주로 하여 온 까닭에 주일학교 운동이 개 교파별로 움직이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 당시 주일학교는 교육철학에 근거한 원리가 빈곤하여, 어린이 설교와..

코이네 교육 2017.09.22

우리나라 해방 이전의 교회학교

해방이전의 교회학교 영국에서 시작된 주일학교 운동이 미국으로 건너가 큰 발전을 보게 된 후 드디어는 우리나라에까지 들어오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주일학교 운동을 시작하게 된 것은 선교사들에 의해서이다. 당시 선교사들은 버림받고, 고통받는 자, 가장 비천한 이들과 함께 숙식을 같이 하면서 복음을 전파하였고, 이런 이들에게 감명 받은 그리스도인들이 마침내 그리스도의 복음을 깨닫고, 자신들도 이 땅의 동족을 위해 헌신하는 결단을 하기에 이르렀다. 1887년 정식으로 학교와 병원이 국왕의 승인을 받게 되자 이들은 본격적으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주일학교를 남․여 별로 갖기 시작하였다. 역사적으로 1888년 1월 15일에 서울 정도 이화학당에서 처음 어린이 12명과 부인 3명이 모여서 성경공부를 시작하였다. 이것..

코이네 교육 2017.09.13

영국과 다른 길을 걸은 미국 주일학교의 발전과 교사의 역할

미국에서도 초기에는 영국의 주일학교처럼 대부분 가난한 노동자아이들에게 기초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주일학교가 세워졌다. 그래서 초기에는 영국처럼 공장도시에서 평일에 교육의 기회를 잃은 아동들을 대상으로 주일학교 교육이 이루어졌다. 이들이 한 주간 중 가장 자유로운 날인 주일에 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주일학교에서는 성경본문을 교재로 하여, 고용된 교사들에 의해 기본적인 읽기, 쓰기를 가르쳤다. 그러나 미국과 영국의 주일학교는 1820년대부터 그 양상이 달라지기 시작하였다. 영국은 가난한 자들이 교육의 대상이었지만, 미국은 민주주의의 평등의 원리를 건국이념으로 삼았기에 영국식의 가난한 자만을 구별하는 특별한 학교제도에 흥미를 잃게 되었다. 더욱이 남부에서는 주일학교가 노예학교와 동일시되었으므로 미국 주일학교는..

코이네 교육 2017.08.03

미국의 주일학교 시작과 특징

미국에 있어서의 첫 번째 주일학교는 1785년 대서양 연안의 남부 버지니아주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남부의 여러 교육기관은 귀족들이나 부유층을 위한 것이었고,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환경은 남부로 하여금 보다 먼저 주일학교를 설립케 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영국에서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주일학교도 처음에 가정에서부터 시작하였다. 당시 미국 개척시대의 교육은 대부분이 부모에 의해서 행해지고 있었다. 1785년 버지니아주의 윌리엄 엘리오트(William Elliott)는 그의 농장 안에서 일하는 노예의 자녀들과 자신의 자녀들을 교육시킬 목적으로 매주일 저녁에 일을 중지하고 공부를 시켰는데 이것이 이른바 미국에서의 첫 주일학교의 기원이다. 이 학교는 이웃에 사는 어린이들도 초대되어..

코이네 교육 2017.08.03

영국 주일학교 교사의 사명과 역할

영국 주일학교와 교사 영국의 주일학교교육의 특징을 살펴보면 우선 길거리에서 아이들을 모으고 깨끗이 씻기고 그들에게 공부를 가르친 것이 핵심적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교사의 운용면에 있어서 1일 1실링으로 교사를 채용했지만, 자원봉사적 교육으로 정착해 갔다. 그리고 여자의 교육에 공헌을 했고, 산업사회, 노동, 비행, 범죄 등의 환경 즉 산업 혁명으로 인한 새로운 교육적 요청 가운데서 주일학교가 시작되었다. 영국 주일학교의 교육 내용은 읽기, 쓰기 산수 등의 기초교육이었다. 미국주일학교보다 기초적인 문자 보급에 더 심혈을 기울였다. 거의 대부분 읽기를 가르쳤고, 20% 정도는 쓰기, 5%정도는 산수를 가르쳤다. 이는 하층 계급인 노동자의 자녀, 가난한 자들을 위한 학교였고, 아동에 대한 사회복지적 차..

코이네 교육 2017.08.02

교회학교의 태동 영국 주일학교의 시작과 특징

교회학교의 시작, 영국의 주일학교 최초의 주일학교는 영국에서 17-18세기에 걸쳐 펼쳐진 기독교 자선 운동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영국은 사회적으로 큰 타락의 시기였다. 청교도에 대한 반동으로 교회가 부패하여 교직자들은 타락했고, 정치는 금권으로 휩쓸리는 비참한 시기였으며, 농촌은 피폐하여 가난으로 인해 몰려드는 직공들은 대부분 아이들과 부녀자들이었다. 이들은 저임금으로 노예처럼 혹사를 당해야만 했고, 주일이면 거리에 뛰쳐나와 시민들에게 폭력을 행사하고, 부도덕과 악행을 일삼았으며, 농장에서 곡물을 강탈하였다. 그러나 위정자들은 이런 사회적 현상을 타개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은 마련하지 않고, 교도소만 넓혀갔다. 로버트 레이크스의 주일학교 운동은 이런 사회적인 현상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책임과 소명의식에서 ..

코이네 교육 2017.08.01